삼성증권 앱 ISA 가입 정보 확인 방법을 알아보자.
ISA 계좌로 투자를 하다보면, 현재 입금한 금액 및 투자한 내역은 확인하기 쉬운데, 가입정보를 확인하는 곳은 보이지 않는다. 그러나 생각보다 찾아보는 메뉴는 매우 간단하다.
이미 가입한 이후에 잊어버린지 오래라면, 계약기간 및 만기일을 확인할 수 있으니 가입정보를 한 번 점검해보자. 삼성증권 앱 ISA 가입 정보가 서민형인지, 일반형인지 알아야 세제 한도가 얼마인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.
삼성증권 앱 ISA 가입 정보 확인하는 방법
- 삼성증권 앱을 켜고 로그인한다음, 오른쪽 하단의 [메뉴]를 누른다.
- 처음에 나타나는 메뉴는 [주식/파생]탭이다.
이 탭의 국내주식에서는 ISA 계좌에 접근이 가능하다. 매도, 매수가 가능하지만! ISA 가입정보를 얻는 곳은 전혀 다른 탭에 있다.

3. 상단 3번째 탭인 [연금/절세]탭으로 이동한다.
.png?raw=true)
4. [연금/절세] – [ISA]에 들어가면 My ISA 아래의 ‘가입 정보’를 눌러 들어간다.
삼성증권 ISA 가입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들
가입정보를 열어보면,
먼저, 가입 유형이 중개형, 신탁형, 일임형 중 무엇인지 나타난다.
그리고 바로 아래에 일반형인지 서민형인지와 함께 비과세 금액의 한도를 볼 수 있다.
의무 보유 기간과 계약기간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. 의무 보유기간은 모두 3년으로 동일하고, 계약기간의 종료일인 만기일과 상관없다. 의무보유기간인 3년이 지나면, 계약기간 만기일 이전이어도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다.
.png?raw=true)
이어서, 가입한도 누적입금액, 추가입금가능금액도 확인할 수 잇다. 추가 입금 가능 금액은 매년 2천 만원 납입한도에서, 채우지 못한 한도가 누적되어 나타난다. 보통 3년의 의무 보유 기간이 지나면, 세제혜택을 받기위해 다른 ISA를 개설해 갈아타는 것이 흔하다.
다만, 세제혜택을 누릴 400만 원 이상의 수익이 났어야지 말이다. 이거 원.